무역통상뉴스

  1. 알림광장
  2. 무역통상뉴스
제목 수출업계 선정 3대 리스크 ‘경기둔화·공급망·금융변동’
분류 주간무역뉴스
출처
등록일 2023-01-19
조회수 9
내용

 

수출업체 47% ‘올해 경영환경 나쁠 것’

 

무역협회, ‘수출 기업의 2023년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 발간

 

 

우리 수출업계가 올해 수출환경 3대 리스크로 ▷세계 경제 둔화 ▷공급망 애로 ▷환율‧금리 변동을 꼽았다. 한편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 6.3%, 우크라이나 리스크에 대한 응답은 5.9%에 불과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월 20일 수출 실적 50만 달러 이상의 기업 1327개사의 설문 응답을 바탕으로 ‘수출 기업의 2023년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처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수출 기업의 경영환경이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46.9%로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인 16.9%의 2.8배에 달했다. 수출 여건이 올해에도 쉽지 않으리라는 예상이다.

 

화학공업제품(58.7%),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56.0%), 철강 및 비철금속 제품(52.0%)의 경우 응답자 중 절반 이상에서 수출환경이 악화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수출 1위 품목인 반도체 역시 악화 응답이 45.2%에 달했다.

 

수출 기업의 손익분기점 환율은 달러당 1250원 내외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이 1200원 중반 이하로 떨어지는 등 환율 하락 기조가 강화되고 있어, 수출 기업의 수익성 하락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업들은 미국의 불확실한 금리 정책에 따른 환율 변동성 확대를 주요 리스크로 꼽고 있는 만큼, 환변동 리스크가 큰 중소‧중견 기업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출 기업들은 올해 투자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감소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국내투자 계획을 묻는 설문에서 지난해와 동일(55.3%)하다는 응답이 많았고 감소(29.5%) 응답도 적지 않았다. 해외투자 계획도 지난해와 동일(58.0%)하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감소(27.5%) 응답도 적지 않았다.

 

대기업의 43%는 국내와 해외투자 모두 축소하겠다고 응답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에서 국내외 투자를 축소하겠다는 응답률이 45.2%로 가장 높게 나타나, 반도체 투자 활성화를 위한 세제 지원의 조속한 시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 기업들은 대중국 수출의 감소세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39.5%)했다. 특히 대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53.7%), 화학공업제품(47.1%),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46.8%) 기업의 우려가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기업의 60.9%는 자사의 경쟁력이 중국기업보다 우월하다고 응답한 한편, 철강‧비철금속, 무선통신 품목 등에서는 한-중 기업 간 경쟁력 격차가 크지 않다는 응답이 많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은 수출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세제 지원 확대와 노동시장 개혁이 가장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법인세 인하(18.1%) ▷주52시간 근무제 보완(17.7%) ▷R&D 투자 세액 공제 등 세제 지원 확대(15.7%) ▷최저 임금 인상 속도 조정(13.6%) 등을 꼽았다.

 

플라스틱‧철강 등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업종은 법인세 인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전기·전자‧반도체 등 R&D 경쟁력이 중요한 업종에서는 투자 세액 공제가 시급하다고 답했다.

 

 

또 수요에 따른 생산 조절이 중요한 자동차‧부품, 기계 업계에서는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기한 내 운송이 중요한 농수산물 업계는 안전운임제를 개편해야 한다는 요구가 많았다.

 

 

조의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우리 수출 기업의 47%가 올해 경영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 둔화, 공급망 애로, 환율‧금리 변동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수출 여건이 녹록잖은 상황”이라면서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수출 기업의 우려가 깊어지고 있는 만큼, 세제 지원 확대, 노동시장 개혁 등 기업 수요에 대응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 수출기업의 ‘2023년 주요 리스크’ 설문 응답 > (자료=한국무역협회 제공)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