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통상뉴스

  1. 알림광장
  2. 무역통상뉴스
제목 미, 상반기 무역적자 오히려 확대… 관세폭탄 무색
분류 주간무역뉴스
출처
등록일 2025-09-01
조회수 8
내용

트럼프 2기 정부의 슬로건인 ‘위대한 미국의 재건(MAGA)’에 있어 무역적자 해소는 핵심 정책 중 하나다. 올해 연초부터 시작된 트럼프의 관세폭탄은 과연 효과가 있었을까? 

 
세 자릿수까지 넘나든 초고관세율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에 미국의 무역적자는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전체적인 무역적자액이 확대되는 아이러니한 수치를 보여줬다.

 
최근 발표된 미국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중 미국의 무역적자액은 6922억 달러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5372억 달러에 비해 1550억 달러(28.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트럼프의 요란하고 거친 압박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정반대로 움직인 것이다. 특히 20%를 훌쩍 넘는 관세율 압박이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6월에도 미국의 무역 적자액이 857억 달러에 달해 지난해 같은 달(912억 달러)에 비해 55억 달러가 개선된 데 머물렀다. 비율로 환산하면 6% 축소된 셈이다.

 
트럼프 1기부터 지속적으로 강공을 펼쳐온 중국을 제외하면, 과연 관세율 압박이 무역수지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의구심이 들 정도다. 

 
중국에 대한 무역 적자액은 올해 상반기에 152억 달러(1267억 달러 → 1115억 달러)가 감소했지만, 미국의 1위와 2위 무역 상대국인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무역 적자액은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에 이들 국가에 대한 무역 적자액은 6억 달러와 141억 달러가 각각 증가했다. 

 
더욱이 8월까지 상호관세율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미국의 3대 교역 상대국이다. 

 
여기에다 미국과 대결 구도를 이어가고 있는 인도에 대한 무역적자를 합하면 올해 상반기에만 2707억 달러로 미국의 전체 무역적자의 40%에 육박했다.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EU·일본·한국 등과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경제 전쟁은 여전히 커다란 불씨를 안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미국의 무역적자액이 가장 큰 나라는 중국으로 1115억 달러를 기록했다. 

 
그다음은 멕시코(962억 달러), 캐나다(287억 달러), 인도(343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20대 교역국(2025년 상반기 수출액 기준) 중 한국에 대한 미국의 적자액은 311억 달러로, 8번째로 큰 금액이었다. 

 
다만, 한국에 대한 적자액은 지난해 상반기 339억 달러 대비 28억 달러가 줄어 적자국 중 4번째(중국, 독일, 이탈리아, 한국 순)로 많이 감소했다. 

 
올해 6월만 놓고 보면, 멕시코에 대한 무역 적자액은 146억 달러에서 168억 달러로 22억 달러가 늘었고, 한국도 56억 달러에서 58억 달러로 약간 늘어났다. 일본에 대한 적자액도 41억 달러에서 52억 달러로 11억 달러가 증가하였다.   

 
관세효과를 두고 결론을 내기에는 아직 이르지만, 기본적으로 산업의 경쟁력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인위적인 관세율 조정만으로는 무역적자 축소에 한계가 있음을 올해 상반기 미국의 무역 통계가 잘 보여주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한다. 

 
무역적자는 불공정한 무역조건도 어느 정도 작용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양국 산업간 경쟁력과 부존자원의 차이를 반영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최용민 최용민무역통상연구소장은 “상반기 무역통계는 관세율 폭등을 우려해 일부 밀어내기 수출이 반영된 것은 사실이지만, 상당수 품목은 높은 관세율만으로 미국에서 대체재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면서 “더욱이 향후 높은 관세율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미국 경기가 좋아질 경우 수입 수요가 증가한 데다 미국 제품의 대외경쟁력 약화(수입 원자재가 상승)까지 겹치면 미국의 무역적자는 더욱 확대될 여지도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상반기 미국의 10대 수출국 무역적자액 변화(단위: 억 달러)]

국가명

캐나다

멕시코

중국

영국

네덜란드

독일

일본

한국

스위스

브라질

24년 상반기(a)

-281

-821

-1,267

+63

+260

-421

-338

-339

-92

+32

25년 상반기(b)

-287

-962

-1,115

+150

+287

-382

-345

-311

-478

+45

변화(a-b)

+6

+141

-152

-87

-27

-39

+7

-28

+386

-13

주) 10대 수출국은 2025년 상반기 기준
자료: www.kita.net 미국 무역통계


 

첨부파일